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or
- jupyter notebook
- Tuple
- 자연어처리 #언어학 #이론언어학 #통사론
- 자연어처리 #언어학 #이론언어학 #형태론
- 문자열
- Anaconda
- list
- Set
- IF
- 숫자형
- Python
- 미니프로젝트 #XYZ세대 #도서제목분석 #워드클라우드 #워드투벡 #대응분석 #word2vec
- while
- bool
- 언어학 #이론언어학 #자연어처리 #개론
- Today
- Total
목록TIL(Today I Learned) (6)
미나랑 해보자

1. 사전 교육 python 기초에서 부족하다고 느꼈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어 유의미했다. 특히 사용자정의함수에서 반환값이 하나만 가능하다는 것, 사용자정의함수에서 반환값이 없는 경우 출력하면 None이 반환된다는 것은 궁금해서 질문도 하고, 왜 그런지 답변도 받받을 수 있어서 좋았다. 다만 복습하고 블로그에 올릴 때 마크다운이 안예뻐서 직접 코드블록으로 올렸더니 이건 또 너무 고생스러워서 다시 고민이 된다.. 좋은 방법을 찾아봐야지 2. 달리기 다섯번째 달리기를 마무리했다. 달리기 페이스가 나름 일정해져서 성장했다고 느꼈다. 앞으로도 주3회 꾸준히 실천해야겠다.

1. 사전교육 대학원에 합격했고, python, DB, 선형대수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게 되었다. 데이터베이스랑 선형대수에 대한 지식은 부족했으니까 순순히 인정했는데 python시험 점수가 충격이었다... 그동안 배웠던건 뭐지? python을 이렇게 못했나? 자괴감이 들었는데 맞다. 나 코딩 부족한게 맞았다. 오히려 한 번 더 기초 수업 수강하면서 이 자료형에는 이런 기능이 있었구나! 이건 몰랐네! 발견하는 재미도 있고, 그동안 너무 구글링에 의존했어서 겪었던 불안감이 좀 사그라든다. 잘 정리하고 잘 배워봐야지. 아예 처음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2. 대학원 입학 전까지 뭘 할 것인가.. 일단 사전교육이 2/9까진데 음 그 이후에는 어떻게 보낼지 고민 중이다. SQLD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같이 ..

1. 포트폴리오 드디어 포폴을 완성했다!! 그동안 했던 프로젝트, 활동들, 포부 등등 이 내용을 넣어야할지, 말어야할지, 넣는다면 어떤 부분을 어필해야할지 정말 많은 고민이 있었다. 처음 만들어보는거라 어렵기도 하고, 고민이 되기도 했지만 그래도 재미있었고 나름 괜찮았던 것 같다😊 2. 졸논준비 가짜뉴스 판별기를 언어학적 분석(품사, 타입토큰비율)을 더해서 성능을 높이는 주제를 생각하고 있다. 기존의 논문들이 아직 word2vec정도 밖에 진행하지 않았고 SOTA가 75%정도로 낮은 편이라 XGBoost나 랜덤포레스트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충분히 경쟁력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데이터 수집 문제!! 기존 선행연구에서 SNUfactcheck 사이트에서 크롤링을 해왔다길래 나도 그..

며칠 TIL을 쓰지 못했다. 작심삼일은 절대 아니고!! 고민이 많았던 것 같다. 대학원을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벽이 너무 높은 것 아닐까 고민도 많이 되고, 가서 열심히 할 자신은 있는데 내가 준비가 된걸까 안뽑아주면 어쩌지 벌써부터 걱정이 되었다. 이 기간동안 정말 붙을 줄 알았던 인턴을 떨어져서 더 자신감이 떨어져있는 상태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서 부모님과도, 좋은 친구와도, 나 스스로와도 많이 얘기해봤는데 대충 결론을 내렸다. 먼저, 대학원은 회사랑 다르니까 교수님들은 대단한 실적을 가진 사람보다도 나처럼 열심히 배울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을 원할 수도 있어! 그리고, 친구가 말하기를 잘 해낼 수 있다고 생각보다 허수도 많다고 응원해주었다. 컴공 대학원에 지원했는데 코딩지식이 전무한 사람도 있었다고...

1) 대학원 진학동기 대학원을 알아보면서 내가 왜 대학원을 진학하고 싶은지, 공부란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조금 더 생각해보았다. 곧 정리해서 올릴 예정이다. 2) 대응분석 개념 미니프로잭트로 했던 x, y, z세대가 대출한 책 제목 분석 리뷰를 하면서 분석방법 중 하나였던 대응분석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았다. 대응분석은 다변량 범주형 자료를 대상으로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와 어떤 패턴으로 관련되어있는지 볼 수 있는 데이터분석이고, 다차원의 데이터를 2차원 평면에 차원을 축소하여 나타내도록 각 요소의 카이제곱거리를 측정한다. 각 변수의 거리나 각도에 따라 연관도를 알 수 있다. 참고한 곳은 여기 https://syj9700.tistory.com/44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

매일매일 조금씩이라도 TIL을 기록해보기로 마음 먹었다 1일 1포스팅 화이팅! 0915 TIL [법언어학 수업] 법률언어는 전문어이다 1. 법률언어는 명료성, 정밀성, 비중의성, 포괄성을 기준으로 한다. 1) 명료성: 입법부의 의도가 모호성 없이 분명하게 문자화되어야한다 2) 정밀성: 가능한 적은 단어를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명사를 자주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3) 비중의성: 중의성이 없어야한다 4) 포괄성: 법적 효력 범위 명시의 타당성에 관련된다. 많은 경우의 수를 포괄할 것 2. 법률언어의 어휘적 특징: 고어체 사용, 의식/형식언어라는 점, 문화특수적 성격 3. 법률 영어의 구문적 특징: 1) 긴 문장 1971년 법원 법률 한 문장 당 단어의 수 55.11로 한 문장 당 단어의 수 25.49인 미..